GitHub Copilot을 프로젝트에 활용하는 방법 순서 설명
참조 링크: https://github.com/studydev/CopoilotWorkshop-VSCode-Py-HDA

Agentic DevOps란 무엇이고? GitHub를 어떤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가? (손건님 PPT 자료 전달 받아야함)
코드 기반의 Demo를 진행할 경우, 흐름을 놓치거나, 코드가 보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1. 프로젝트에 대한 정의
- instruction 파일에 정의합니다.

- 프로젝트의 구조 또는 나의 스킬셋에 맞추어 미리 설명을 합니다. 코딩 스타일 포함.
- 코파일럿 CLI
- 프로젝트 정의의 경우 M365 Copilor Research 도구를 활용해서 자세하게 만들어 달라고 하면 좋을 것 같음.
- (Option) GitHub MCP 연결 - 깃헙과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Issue를 발행하면 스스로 계획하고 코딩을 하게 되는 구조다.
2. 프로젝트 시작
- Plan 챗 모드로 넘어가서 이 프로젝트에 대해서 준비해야할 것들을 요청함.
- (옵션) GitHub Issue에 등록 요청 (GitHub MCP 활용)
각 과정이 느릴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이야기할 것들을 준비해야함. - 프로젝트를 만드는걸 시작하자고 하면, 문제가 너무 오래 걸리고 지루해져서 이걸 설명해야할지에 대해서 고민을 해야하는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