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전 비교

  • 이 줄이 추가되었습니다.
  • 이 줄이 삭제되었습니다.
  • 서식이 변경되었습니다.

...

코드 블럭
1. ㉠의 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② 현실로부터 도피할 방법을 구하기 위해 이다. ㉠에서는 폐허 속에서 책을 찾은 이유로 갑작스레 닥친 상황에서 독서를 통해 무언가를 구하고자 했을 것이라고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현실로부터 도피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⑤ 문제에 대한 여러 관점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비판적 판단을 유보함으로써 자신의 관점이 지닌 타당성을 견고히 해야겠군이다. 반응에서는 서로 다른 관점을 비교․대조하면서 정보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한 내용을 통합한다고 설명되어 있는데, 비판적 판단을 유보하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반응이다.
3.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삶을 성찰하게 하는 독서의 가치를 깨닫고 이를 실천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설명에서는 윤동주 평전을 읽으며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시간이 자신에 대해 사색하며 삶을 가꾸는 소중한 시간임을 느꼈다고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삶을 성찰하게 하는 독서의 가치를 깨닫고 실천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Image Added


EBS의 정답 해설지

코드 블럭
1. 세부 내용 파악
정답해설 : ㉠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폐허 속에서도 사람들이 서가 앞에서 독서를 하고 있었던 이유가 무엇이었을까를 묻고 있다. 2문단에서 ‘이들이 책을 찾은 것도 혼란스러운 현실을 외면하려 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 대한 숙고의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4문단에서 폐허 속에서도 책을 찾은 사람들은 ‘자신과 현실에 대한 이해를 구하고자’ 한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폐허 속에서도 사람들이 책을 찾은 이유가 ‘현실로부터 도피할 방법을 구하기 위해’서였다고 이해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 정답 ②

2. 읽기 방식의 적절성 평가
정답해설 : ㉡은 독서는 현실을 올바로 인식하고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논리와 힘을 지니게 한다는 것이다. <보기>에서는 이와 관련한 독서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문제와 관련하여 관점이 다른 책들을 함께 읽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서로 다른 관점의 책을 찾아 읽을 때는 자신의 관점과 각 관점들을 비교‧대조하면서 정보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읽어야 한다고 하였으므로 ‘비판적 판단을 유보’하는 것은 <보기>에서 설명한 독서의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반응이다. 정답 ⑤

3. 독서의 방법 추론
정답해설 : ‘독서 기록장’에서 ‘나’는 ‘윤동주 평전을 읽으며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시간이 자신에 대해 사색하며 삶을 가꾸는 소중한 시간, 즉 ‘자기 성찰의 시간’임을 새삼 느낀다고 하였다. 그리고 ‘오늘 나는 책장을 천천히 넘기며 나에게로의 여행을 떠나 보려 한다.’에서 자신이 느낀 바를 실천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이 학생은 삶을 성찰하게 하는 독서의 가치를 깨닫고 이를 실천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답 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