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다이어그램은 Lab1에서 구축할 서버리스 웹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서버리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프로비저닝, 패치, 확장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합니다. 또한, 서버리스 서비스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이기 때문에,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자체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를 전송하면 해당 텍스트를 읽어주는 기능을 서버리스 서비스 기반으로 개발합니다. Lab2에서는 아래의 RESTful API에 대해서 CI/CD 배포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봅니다.
펼치기 | ||||||||||||||||||
---|---|---|---|---|---|---|---|---|---|---|---|---|---|---|---|---|---|---|
| ||||||||||||||||||
v1.0 Polly과 async를 지원하기 전의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
draw.io Diagram | ||||||||||||||||||
---|---|---|---|---|---|---|---|---|---|---|---|---|---|---|---|---|---|---|
|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이 애플리케이션은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